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인터넷 속도 무료 측정 방법 관련 이미지

     

    인터넷 속도를 무료로 측정하는 방법을 PC와 모바일 기준으로 단계별 안내합니다. 다운로드·업로드 속도, 핑, 지터, 패킷 손실 해석과 정확한 측정 팁, 속도 개선 방법까지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

     

     

    🛠️ 준비 단계

     

    1. 가능하면 유선(LAN) 연결: Wi-Fi 간섭 변수를 제거해 계약 속도에 근접한 수치를 확인합니다.
    2. 백그라운드 종료: 클라우드 동기화, 스트리밍, 다운로드, VPN을 잠시 끕니다.
    3. 공유기 재부팅: 오래 켜둔 경우 캐시로 인해 성능 하락이 있을 수 있습니다.
    4. 서버 위치: 테스트 도구에서 가장 가까운 서버를 선택하면 핑이 안정적입니다.
    5. 시간대: 피크타임(저녁)과 비피크타임(이른 아침) 모두 측정해 비교합니다.

     

    💻  PC에서 무료 측정

     

    1. 스피드테스트(속도계) 실행:

      • speedtest.net 접속 → “GO” 클릭 → 다운로드·업로드·핑 자동 측정
      • fast.com 접속 → 자동 측정 → “상세 정보 보기”로 업로드/핑 확인
      • Google에서 speed test 검색 → “인터넷 속도 테스트 실행” 버튼
    2. 유선 vs 무선 비교:

      • 유선(LAN) → 기준치 기록
      • 무선(Wi-Fi 2.4GHz/5GHz) 각각 측정 → 신호 세기·채널·거리 영향 확인
    3. 3회 이상 반복 후 평균값을 표로 기록합니다.

     

    📱모바일에서 무료 측정

     

    1. 브라우저fast.com 또는 speedtest.net 방문 → 바로 측정
    2. 을 선호하면 “Speedtest” 앱 설치 → 셀룰러(5G/LTE)와 Wi-Fi를 구분해 각각 측정
    3. 위치 이동 테스트: 공유기 근처/방 안/다른 층에서 각각 측정해 감쇠 확인

     

    📊 결과 해석법

     

     

    지표 좋음 기준(가정용) 체감 영향
    다운로드(Mbps) 받는 속도 100Mbps 이상 권장 스트리밍/웹 로딩
    업로드(Mbps) 올리는 속도 20Mbps 이상 권장 화상회의/업로드
    핑(ms) 지연시간 30ms 이하 게임/회의 반응성
    지터(ms) 핑 변동폭 10ms 이하 끊김·로봇음
    패킷 손실(%) 전송 실패율 0% 이상적 튐·끊김

     

    참고: ISP 약정 속도(예: 500Mbps)는 회선 상한치이며, 공유기/케이블/단말 규격, 백그라운드 트래픽, 무선 간섭에 따라 실제 측정치는 낮아질 수 있습니다.

     

    📏 현실 기준표 & 활용 팁

     

    1. 웹·SNS: 25Mbps / 핑 50ms↓
    2. 4K 스트리밍: 25Mbps↑(동시 시청은 x 인원만큼 곱하기)
    3. 재택 화상회의(1080p): 업로드 8–15Mbps, 핑 40ms↓, 지터 10ms↓
    4. 클라우드 백업/유튜브 업로드: 업로드 속도 체감 큼 → 업 50~100Mbps면 쾌적
    5. 온라인 게임: 핑 30ms↓가 체감 좋음(장르·서버 위치에 따라 다름)

     

    ⚡ 속도 낮을 때 점검 체크리스트

     

    1. 케이블 규격: 유선은 CAT5e(1Gbps) 이상, 노후 케이블 교체
    2. 공유기 세대: Wi-Fi 6/6E 지원 모델 권장, 펌웨어 업데이트
    3. 채널 혼잡: 2.4GHz 혼잡 시 5GHz로 전환, 자동채널 대신 덜 붐비는 채널 수동 선택
    4. 위치: 공유기 중앙·높게 설치, 금속/벽면 피하기
    5. 이웃 간섭/가전: 전자레인지·블루투스·무선전화기 사용 시간대 피크와 겹치는지 확인
    6. 단말 성능: 구형 노트북·휴대폰 무선 규격(n/AC) 제한 여부 확인
    7. ISP 이슈: 피크타임에만 느리면 회선 혼잡 가능 → 고객센터에 “지연/지터/손실 수치”와 함께 문의
    8. VPN/보안프로그램: 테스트 시 일시 해제 후 비교

     

    ❓ 자주 묻는 질문(요약)

     

    Q. 몇 번 측정해야 정확한가요?
    시간대를 달리해 3–5회 평균을 권장합니다.

     

    Q. 실제 다운로드 속도 MB/s로 보이던데요?
    대부분의 브라우저·다운로더는 MB/s 단위를 표시합니다. MB/s = Mbps ÷ 8로 환산하세요.

     

    Q. 집은 빠른데 회사/카페에서만 느려요.
    공유기 QoS, 방화벽, 동시 접속자 수가 원인일 수 있습니다. 같은 도구로 반복 측정해 비교하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즐겨찾기해 두고 정기적으로 속도를 점검해 보세요. 측정 결과 캡처와 장비 스펙을 남겨두면 ISP 상담 시 해결이 빨라집니다. 유익했다면 좋아요 👍 눌러주세요!

    반응형